도민방송 문성호기자 | 인천광역시는 지난 7월 31일 인천도시역사관 강당에서 ‘인천시립미술관 사전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역미술계 연구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인천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관의 역할’을 주제로, 미술관이 지역사회와 예술 생태계 속에서 수행해야 할 공공적 역할에 대해 지역 예술인들과 함께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총 14인의 지역 작가, 기획자, 미술대학 교수, 예술행정 전문가들이 참석해 ▲인천미술의 발자취와 얼굴들 ▲글로벌 아트 트렌드와 인천시립미술관의 브랜딩 ▲지역문화 인프라 활용 및 지역 커뮤니티 협업 활성화 등 세 가지 주제로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첫 번째 주제 ‘인천미술의 발자취와 얼굴들’에서는 인천미술협회 강형덕 회장이 지역미술사와 시립미술관 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인천대학교 이계원 교수는 인천미술의 계보 정리와 통합 아카이브 구축의 시급성을 제안했다. 민간 전시기획자인 김최은영 예술감독은 민간 기획력과 창의성을 반영한 시립미술관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인천민예총 도지성 위원은 생활 밀착형 미술관의 가능성을 사례를 통해 공유했다.
두 번째 주제 ‘글로벌 아트 트렌드와 인천시립미술관의 브랜딩’에서는 인천가톨릭대 이호진 교수가 미술관의 공공성과 타 장르 예술과의 융복합 필요성을, 인하대 김상원 교수는 AI·DEIA 등 글로벌 문화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기술 기반 미술관’의 정체성을 제시했다. 평론가 김홍기는 디지털 시대 감각성과 예술 경험의 회복을 강조했고, 노기훈·박지혜 작가는 동시대 도시성과 작가 입장에서 미술관에 대한 기대를 공유했다.
마지막 주제인 ‘지역문화 인프라 활용 및 지역 커뮤니티와의 협업 활성화’에서는 부평문화재단 우사라 팀장이 생애주기별 예술교육과 커뮤니티 협업 사례를 소개했으며, 경인교대 오창근 교수는 학교 예술교육과 미술관 연계 모델을 제시했다. 인천문화재단 김락기 본부장은 지역문화 생태계 내 순환 구조의 중요성을, 복합문화공간화안 김영규 대표는 민간 공간의 자율성과 작가 중심 운영 전략을, 스페이스빔 민운기 대표는 대안공간의 공동체적 실천을 각각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천시립미술관 개관을 앞두고 지역성과 공공성을 조화롭게 반영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 지역 예술계의 현실과 미래를 연결하는 공론의 장으로 평가받았다.
인천시는 이번 세미나를 시작으로 8월 27일에는 수도권 공립미술관 관계자와 함께하는 제2차 세미나, 10월 30일에는 시민이 참여하는 공개포럼을 순차적으로 개최해 인천시립미술관의 정체성과 운영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또한, 인천시립미술관은 미추홀구 학익동 587-53번지 일원에 조성되는 인천뮤지엄파크의 핵심시설로, 기존 인천시립박물관과 함께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두 기관은 2028년 개관을 목표로 조성 중이다.
윤도영 시 문화체육국장은 “인천시립미술관은 시민의 삶과 예술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열린 문화공간”이라며, “앞으로도 인천시는 지역 예술인과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인천시립미술관이 도시의 문화적 품격을 높이는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세미나 및 공개포럼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인천시와 프로젝트 공식 누리집에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뉴스출처 : 인천시]